사업

연말정산 기본공제(인적공제) 기준 및 요건 확인하기

차부니노트 2022. 1. 23. 14:46

안녕하세요 차부니입니다.

 

오늘은 연말정산 기본공제 기준 및 요건 등에 대해서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주위에 배우자나 부양가족의 소득요건 때문에 기본공제를 받지 못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요.

나중에 비과세/분리과세를 잘 따져보면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아래 내용 잘 보셔서 그동안 기본공제에 포함하지 못하셨던 분들도 분리과세/비과세를 잘 따져보신 후

가능하시면 배우자, 부양가족을 기본공제에 추가하여 더 많이 세금 환급 받으시길 바랍니다.

1. 기본공제 공제 요건

아래 공제요건을 충족하는 본인, 배우자 및 부양가족에 대해 1인당 150만원 공제

소득요건에서 연간 소득금액은 근로, 사업, 이자, 배당, 연금 기타, 퇴직, 양도 소득의 총합계를 말합니다.

(분리과세 소득은 연간소득금액 기준에서 제외)

 

여기서 말하는 분리과세는 일정 금액 이하의 소득이 발생할 경우 편의성 및 조세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소득 지급 시마다 별도로 과세하는 방법입니다.

분리과세로 세금을 납부했으니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소득입니다

즉, 기본공제 소득요건에서 제외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2. 소득요건 상세 기준

각 소득 종류별 기준 및 분리과세에 대해서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즉, 연간 100만원의 총액을 따져서 기본공제가 안되네 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비과세나 분리과세 여부도 잘 따져보시기 바랍니다.